인공지능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커지는 지금, 조직은 “AI 를 어떻게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운영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023 년 12 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가 공동 제정한 ISO/IEC 42001 : 2023 ― 인공지능경영시스템(AI Management System)은 바로 그 해답을 향한 첫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품질(ISO 9001)·정보보호(ISO/IEC 27001)처럼 경영시스템 방식으로 “AI 조직 거버넌스·리스크·컴플라이언스”를 다루며, 데이터 편향·설명가능성·프라이버시·환경 영향까지 포괄하는 요구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제정된 규격인 만큼, 현장에서 “조항을 어떻게 해석하고, 무엇을 준비하며, 심사원은 어디를 볼 것인가”에 대한 참고 문헌은 전무하다시피 합니다.
《ISO/IEC 42001 : 2023 인공지능 경영시스템 인증심사원 안내서 V1.0》도서는 이런 공백을 메우기 위한 국내 최초의 실무 해설서입니다. 20 년간 공공기관의 관리자로서 실무지식과 ISO 심사·컨설팅 경험을 보유한 저자가 약 1년간의 노력 끝에 초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 도서는 ISO/IEC 42001 : 2023 국제표준 원문의 구조(조직환경–리더십–기획–지원–운용–성과평가–개선)를 따라가면서, 각 조항마다 조직 담당자가 반드시 챙겨야 할 실행 포인트와 ISO 인증심사원이 현장에서 확인할 체크리스트, 실제 심사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는 부적합 사례와 시정·예방조치(CAPA)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자의 노력으로 독자는 표준 요구사항 → 준비 과제 → 심사 관점을 한눈에 꿰뚫어 보게 됩니다.
본 도서의 핵심은 ‘조직 담당자 vs 인증심사원’ 이중시각으로 조직 담당자는 실무 가이드로, 인증심사원은 감사 체크리스트로 바로 활용 가능하게 구성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9.2 “내부심사” 장을 펼쳐 보면, 담당자 포인트에 “심사팀 독립성 확보를 위한 교차감사 배정표 작성”이 적혀 있고, 맞은편 심사원 포인트에는 “배정표에 자가심사 배제 여부 확인”이 명시돼 있습니다. 이처럼 대비 구조로 서술돼 있어 한쪽 시각에서 놓치기 쉬운 부분을 자연스럽게 보완할 수 있습니다.
독자층은 ISO 42001 인증을 준비하는 기업·공공기관 실무자, 품질·정보보호 MS를 운용하면서 AI 거버넌스로 확장하려는 책임자, 그리고 ISO 인증심사원·컨설턴트입니다. 특히, ESG·AI 규제(국내 AI 신뢰법, EU AI Act)가 본격 시행되면, AI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통제할 국제표준 기반 프레임워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본 도서는 그 선제적 해법이자, 관련 업계가 참고할 “AIMS 길잡이”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AI 윤리·컴플라이언스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시대,《ISO/IEC 42001 : 2023 인공지능 경영시스템 인증심사원 안내서 V1.0》도서는 규제 대응을 넘어 AI 가치 창출과 리스크 최소화를 동시 달성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ISO 42001 인증을 준비하는 조직, 그리고 이를 심사·컨설팅할 전문가라면 반드시 책상 위에 두어야 할 실무 필독서가 될 것입니다.
저자는 해군장교로 20년간 근무하고 사회로 진출한 예비역 중령입니다. 저자는 ISO 9001, 14001, 19011, 22301, 27001, 42001, 45001 인증심사원 교육을 받고 심사참관 및 컨설팅 경험을 쌓으면서 품질경영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반 독자가 좀더 체계적인 이해와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담은 안내서를 만들고 싶은 열정으로 1인 출판사를 창업하고 본 도서를 만들었습니다. 저자는 본 안내서가 인공지능 경영시스템 운영 및 인증 업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조직의 인공지능 경영을 향한 여정에 함께하길 기대합니다.